군사용 로봇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군사용 로봇은 제2차 세계 대전 중 골리앗 지뢰와 텔레탱크와 같은 원격 조종 무기에서 시작되었다. 이후, 지뢰 탐지 및 제거, 정찰, 폭탄 처리 등의 임무에 투입되었으며, 미국은 베트남 전쟁의 경험을 바탕으로 무인 병기 개발에 주력했다. 대한민국은 2000년대에 군사용 로봇 개발을 시작하여 이지스 로봇을 실전 배치했고, 현재 다족 보행 로봇, 자폭 로봇, 웨어러블 로봇 등의 개발을 진행 중이다. 군사용 로봇 개발에는 자율 이동, 위치 인식 기술 등이 필요하며,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 등 여러 국가에서 다양한 군사용 로봇을 개발하고 있다. 미래에는 무인 항공기, 드론 등의 활용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며, 킬러 로봇의 등장에 따른 윤리적 문제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군사용 로봇 - 골리아트
골리아트는 제2차 세계 대전 중 독일군이 개발한 원격 조종 자폭 차량으로, 건물이나 벙커 파괴에 사용되었으나 높은 생산 비용과 낮은 방어력 등으로 큰 효과를 보지 못했으며 현재는 박물관 전시 및 대중문화 소재로 활용된다. - 군사용 로봇 - SGR-A1
SGR-A1은 대한민국 정부 지원으로 한화테크윈과 고려대학교가 개발한 비무장 지대 경계용 자율 살상 무기 시스템으로, 탐지, 추적, 감시 기능을 갖췄으나 자율성과 발사 권한에 대한 논란이 있다. - 로봇공학 - 사이보그
사이보그는 인공 부위를 이식받아 신체 기능이 복원되거나 향상된 개조 생명체로, 보철, 인공 장기 등의 기술을 포함하며 의료, 윤리, 군사적 측면에서 다양한 논의를 낳고 있다. - 로봇공학 - 로보택시
- 로봇 - 테슬라 봇
테슬라가 개발 중인 인간형 로봇 테슬라 봇(옵티머스)은 테슬라 차량 기술을 활용, 위험하고 반복적인 작업을 수행하며 미래에는 친구나 동반자 역할까지 가능한 로봇으로, 전문가들은 실제 성능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을 보인다. - 로봇 - 가라쿠리
가라쿠리는 일본에서 발달한 자동인형 및 기계 장치의 총칭으로, 에도 시대에 오락 형태로 전성기를 맞이하며 기술과 예술성을 결합한 독창적인 문화유산으로 자리매김했고, 무대, 좌식, 산차 가라쿠리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되어 현대에도 재평가받고 있다.
군사용 로봇 | |
---|---|
지도 정보 | |
개요 | |
정의 | 군사적 목적으로 설계된 로봇 장치 |
사용 분야 | 전투 수송 수색 및 구조 기타 지원 임무 |
목적 | 인명 손실 최소화 위험한 환경에서의 임무 수행 전투 효율성 향상 |
유형 | |
지상 로봇 | 무인 전투 차량 폭탄 처리 로봇 정찰 로봇 |
공중 로봇 | 무인 항공기 (드론) 정찰 드론 공격 드론 |
해상 로봇 | 무인 잠수정 해상 정찰 로봇 기뢰 제거 로봇 |
기술 | |
자율성 | 원격 조종 부분 자율 완전 자율 |
센서 | 카메라 레이더 소나 적외선 센서 |
통신 | 무선 통신 위성 통신 |
윤리적 문제 | |
자율 살상 무기 | 인공지능 기반 자율 살상 로봇의 위험성 윤리적 책임 문제 국제 규제 필요성 |
민간인 피해 | 오작동으로 인한 민간인 피해 우려 오인 사격 가능성 |
전쟁의 변화 | 전쟁 양상의 변화 새로운 군비 경쟁 유발 가능성 |
역사 | |
초기 개발 | 20세기 중반부터 시작 |
냉전 시대 | 기술 발전 가속화 |
현대 | 실전 배치 및 사용 증가 |
미래 전망 | 기술 발전으로 더욱 다양하고 강력한 군사 로봇 등장 예상 |
관련 용어 | |
로봇 군인 | 로봇으로 구성된 전투 부대 |
워봇 | 군사용으로 제작된 로봇 |
자율 살상 무기 | 인간의 개입 없이 목표를 선택하고 공격할 수 있는 무기 시스템 |
기타 정보 | |
개발 및 제조업체 | 다양한 국가의 군수 기업 및 연구 기관 |
실전 사용 | 다양한 분쟁 지역에서 제한적 또는 광범위하게 사용 |
논쟁점 | |
기술 발전 속도 | 법적/윤리적 규제 미비 |
책임 소재 | 로봇의 오작동에 대한 책임 소재 불분명 |
군비 경쟁 | 로봇 무기 개발 경쟁 심화 |
2. 역사
군사용 로봇의 역사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골리앗과 소련군의 텔레탱크로 거슬러 올라간다. 냉전 시대를 거치면서 무인 항공기(UAV) 기술이 발전했고, 특히 미국의 MQ-1 프레데터는 정찰 및 공격 임무에 활용되었다.[4] 21세기 들어 인공지능 기술이 급속도로 발전하면서 자율 전투 로봇 개발이 가속화되고 있다.
초기에는 원격 조종 방식의 무기가 주를 이루었으나, 현대에는 인공지능을 탑재한 자율형 로봇이 개발 및 배치되고 있다.
2. 1. 초기 역사
제2차 세계 대전과 냉전 시대에 독일의 골리앗과 소련의 텔레탱크가 군사 로봇의 초기 형태라고 할 수 있다.[4] 실제로 전투에 투입된 군사 로봇의 대표적인 사례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독일군의 자폭 전차인 '골리앗'으로, 원격 조종 방식으로 운용되었다.[74]

골렘이나 탈로스처럼, 군사적 목적을 가진 인공 생명체에 대한 개념은 "로봇"이라는 단어가 등장하기 이전인 신화나 픽션 속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20세기 전반에는 전자식 원격 조종 무기가 등장했고, 20세기 후반에는 자율 유도가 가능한 발사 후 망각 방식의 미사일이 널리 사용되었다.
2. 2. 현대
1997년부터 1999년까지 보스니아 내전과 코소보 전쟁에서 지뢰 탐지 및 제거용 무인 로봇이 투입되었다.[74] 2001년 미국의 아프가니스탄 공격 당시 아이로봇의 군사용 정찰 로봇 '팩봇(Packbot)'이 활약했다. 팩봇은 무너진 건물 잔해 속에서 사람이나 폭발물을 찾고, 원거리 및 연속 사격이 가능한 산탄총을 장착하여 미군의 희생을 줄이는 데 기여했다.[74]미국은 DARPA 주최 경연 대회를 통해 무인 지상 차량 개발을 촉진했다. 2004년과 2005년에는 민간 기업과 대학이 모하비 사막의 험준한 지형을 탐색하는 무인 지상 차량을 개발하는 경연 대회가 열렸고, 200만 달러의 상금이 제공되었다.[6]
포병 분야에서는 자동화된 화력 지원 시스템인 "드래곤 파이어 II"가 개발되어, 화력 지원 요청에 12초 만에 응답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군사 무기는 완전 자율 작동이 제한되며, 제네바 협약에 따라 목표물 확인을 위해 특정 지점에서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다.
자율 전투기와 폭격기 개발도 진행 중이다.[7] 자율 전투기는 로봇 조종사 훈련이 필요 없고, 인간 조종사가 불가능한 기동(높은 G-포스 등)이 가능하며, 생명 유지 장치가 필요 없어 비행기 손실이 조종사 손실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로봇 공학은 표준이 아닌 조건에 적응하기 어렵다는 단점이 있으며, 인공 지능의 발전이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2021년 3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리비아에서 카르구 2 드론이 인간 표적을 추격하여 공격한 사례가 보고되었다. 이는 자율 살상 로봇이 인간을 공격한 최초의 사례일 수 있다.[8][9]



2015년 이후 인공지능(AI) 기술, 특히 심층 학습과 머신러닝 기술이 발전하면서 군사용 로봇의 기능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실전 배치 분야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미사일(순항미사일) 등에도 임베디드 시스템뿐만 아니라 고도의 AI가 탑재되기 시작하여, 외형은 미사일이지만 실질적으로 자율형 로봇인 경우도 있다.
3. 대한민국의 군사용 로봇 개발
대한민국은 2000년대 들어 군사용 로봇 개발에 박차를 가했다. 2005년 독자 기술로 개발한 이지스 로봇을 이라크에 파병된 자이툰 부대에 실전 배치하여 주야간 목표 식별, 추적, K2 소총을 이용한 사격이 가능하게 했다.[76] 2007년에는 지능형 감시경계로봇이 비무장지대에 배치되었고, 2010년에는 한국의 퍼스펙이 개발한 휴대용 다목적 군사로봇 '스카봇'(scobot)이 선보여졌다. 최근에는 드론, 무인수색차량 등 장비 개발에도 예산이 투입되어 기술 수준이 향상되고 있다.
국방기술품질원의 2013년 국방과학기술조사서에 따르면, 한국의 군사용 지상로봇 기술 수준은 100점 만점에 81점으로, 미국(100점), 이스라엘, 독일, 프랑스, 영국, 일본(100~91점)에 이어 선진권에 속한다. 2016년에는 탐지·수색 임무가 가능한 견마 로봇, 비행기지 주변 감시용 무인정찰차량 등이 개발되었다.[76]
국내 최초로 군사로봇 기술 발전을 위한 국방로봇센터가 마련될 예정이다. 약 3700000m2 규모 부지에 국방로봇 연구센터와 26종의 실험·시험장비가 들어설 예정이며, 이곳에서 로봇들은 실전과 같은 테스트를 받게 된다.
3. 1. 다족 보행 로봇
현대로템은 2022년부터 레인보우로보틱스와 함께 대테러 작전용 다족 보행 로봇 개발에 착수했으며, 2024년 상용화를 목표로 하고 있다.[76] 이 로봇은 4개의 다리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임무에 따라 로봇팔, 원격 무장 체계, 최루가스 살포기 등을 탈부착할 수 있다. 2024년 하반기에는 군에 시범 배치될 예정이다.[76]3. 2. 자폭 로봇
한화디펜스는 'SG(Smart Grenade)'라 불리는 초소형 자폭 로봇을 개발했다. 무게는 700g에 불과하지만, 좌우에 달린 고무바퀴를 이용해 빠르게 움직인 뒤 건물 내부나 엄폐물 뒤에 숨어 있는 적을 발견하면 최루탄 또는 고폭탄을 근접거리에서 작동시킬 수 있다.3. 3. 웨어러블 로봇
LIG 넥스원은 웨어러블 로봇을 개발 중이다. 웨어러블 로봇은 아이언맨의 슈트처럼 입기만 해도 신체 능력이 향상되는 것이 특징이다. 하체 장애가 있는 사람도 일반인처럼 걸을 수 있고, 무거운 물건을 다루는 작업자들의 근력을 지원해 작업 부하를 낮출 수 있다.[78][79]
이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하면 완전 군장(약 40kg)한 병사가 시속 10km까지 달리는 것도 가능하다. 이는 일반 보병 행군 속도의 두 배에 달하는 수준이다. LIG넥스원 관계자는 “인천국제공항에 근무하는 직원들을 대상으로 웨어러블 로봇을 시범 도입한 바 있다”며 “앞으로 군에서도 도입할 수 있도록 추가 연구 개발을 진행할 방침”이라고 말했다.[79]
4. 군사용 로봇 개발에 필요한 기술
지능형 로봇은 인간의 골격과 손에 해당하는 기구부와 매니퓰레이터, 근육에 해당하는 액추에이터, 오감에 해당하는 센서, 인간의 두뇌와 같은 기능을 담당하는 제어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어기는 로봇의 두뇌와 같은 역할을 수행하며, 다양한 제어 이론이 탑재된다.[61]
로봇 제어 기술은 로봇이 다양한 목적에 맞게 작동하는 데 필수적이다. 현대 항공기는 레이더나 시각으로 적과 아군을 식별하기 어렵기 때문에, 공격 판단을 사령부에 요청한다. 무인 항공기도 공격 허가를 운영자를 통해 사령부에 요청하는 것이 현재 주요 방침이다.[61]
지상 무기의 경우, 국경 경비에서 이스라엘의 가디엄과 같이 자동 운전(오토파일럿)에 성공한 사례가 있지만, 공격 자동화는 여전히 어려운 과제이다. 현재 지상 군사용 로봇은 이미지 센서를 통해 원격 조종자가 영상을 보고 상황을 판단하거나 공격 대상을 식별한다.[66]
RWS(Remote Weapon Station/System)는 군용 장갑차 및 군용 함정에 장착되는 원격 조작식 로봇 포탑으로, 승무원이 차량 내에서 탑재 카메라 영상을 보면서 무기를 조작할 수 있게 해준다. 더 나아가 적 공격을 감지하여 자율적으로 반격하는 시스템도 연구 개발되고 있다.
군사용 로봇의 원격 조작을 위해 컴퓨터를 이용한 자동화 및 효율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자동 조종 지시는 컴퓨터에 데이터를 입력하여 운용할 수 있으며, 지상 정찰용 로봇은 방수·방진 사양의 노트북 컴퓨터에 무선 송수신기를 연결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미래에는 보병이 웨어러블 컴퓨팅을 통해 고도로 정보화되고, 헤드 마운트 디스플레이를 통해 정찰 로봇을 조작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원격 조작은 조작자의 판단과 조작 실수에 의해 한계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이보그 기술이나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 등이 연구되고 있지만, 윤리적 문제 등으로 인해 실용화는 미지수이다.
4. 1. 자율 이동 기술
자율이동 기술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기술로, 바퀴형, 4족형, 2족형 등의 이동 메커니즘으로 분류된다. 바퀴형의 경우 경로 계획과 제어 기술이, 4족형의 경우 미국의 Big Dog과 같이 야지를 이동하며 자세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는 기술이 핵심이다. 2족형의 경우, 아시모와 휴보가 보여주는 것처럼, 인간의 보행 형태를 실현하는 기술이다. 현재는 4족형의 경우 90 수준(노새와 같은 이동 지수)에 도달한 것으로 보이며, 2족형의 경우 50 수준(막 걸음마를 배운 5세의 이동 지수)에 머문 것으로 판단된다. 아시모의 경우 계단 오르기, 5km/h의 속도로 달리기 등이 가능하나, 한국의 휴보와 마찬가지로 약간의 돌출물(카펫의 가장자리 등)도 감지를 못해 넘어지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61]4. 2. 위치 인식 기술
위치인식 기술은 기계가 스스로 공간 지각 능력을 갖는 것으로, 물체인식과 더불어 인공지능 기술이 기반이 된다. 로봇의 자율이동 기능 구현에 핵심이 되는 기술이며, 2세대 인지 기술이라고도 불린다. 센서 기반, 마크 기반, 스테레오 비전 기반 위치인식 기술 등 다양한 접근법이 연구되고 있다.[80]5. 해외의 군사용 로봇
20세기 전반에는 전자적으로 원격 조작이 가능한 무기가 등장했고, 20세기 후반에는 자율 유도가 가능한 발사 후 망각 방식의 미사일이 보편화되었다. 21세기에는 인공 지능의 발전과 함께, 더욱 높은 수준의 자동화가 연구되고 있다.
5. 1. 미국
미국은 군사용 로봇 분야의 선두 주자로, 무인 로봇을 이미 전장에 배치하고 있다.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는 2012년 6월, 미국이 2012년에만 지상 로봇에 6.89억달러를 투입하여 세계에서 로봇에 가장 많이 투자하는 국가로 지정했다고 보도했다. 미군은 폭탄 탐지나 병참 지원용으로도 4,000여 대의 로봇을 운용하고 있다.[81] 브루킹스 연구소의 피터 싱어는 2009년 1월 발간한 ‘로봇과 전쟁 (Wired for War)’에서 미국이 무인지상차량을 1만 2,000대 보유하고 있다고 주장하였다.[81]미국은 육군, 해군, 공군 모든 부분에서 로봇과 무인 기술을 이용한 전력 확대를 꾀하고 있다. 특히 해전(海戰)에서의 우위를 위해 자율 로봇 전함과 무인 보트 기술을 개발하는 데 앞장서고 있다. 미국은 지난해 말 자율적으로 임무를 수행하는 로봇 전함 ‘씨헌터(Sea Hunter)’의 첫 성능 테스트를 성공적으로 완수한 것으로 알려졌다. 샌디에고 해안에서 성능 테스트를 마친 자율 잠수함 씨헌터는 속도, 기동성, 안정성, 내항성, 가속/감속 및 연료 소비 등 모든 항목에서 당초 목표를 능가해 2018년 실전 배치가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 해군은 이와 함께 팀 운항이 가능한 무인 보트 기술을 개발해 정찰, 테러 대응 등 해상 작전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드론 정찰선은 2년 전만 해도 각종 위협에 대해 개별 대응만 가능했으나 군집 드론 간의 팀워크가 가능해져 기동성과 현장 대응 능력이 크게 높아졌다는 평가다.[82]

DARPA는 2004년과 2005년에 민간 기업과 대학이 모하비 사막의 험준한 지형을 탐색하는 무인 지상 차량을 개발하도록 경연 대회를 주최하여 200만달러의 상금을 제공했다.[6]
포병은 정확한 예측 사격에 필요한 장전과 탄도 계산을 자동화하여 화력 지원 요청에 12초의 응답 시간을 제공하는 "드래곤 파이어 II"라는 실험용 무기 시스템으로 유망한 연구를 보였다. 그러나 군사 무기는 완전히 자율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막고 있으며, 제네바 협약에서 정의한 전쟁 법에 따라 목표물이 제한된 사격 지역 내에 있는지 아닌지를 확인하기 위해 특정 개입 지점에서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다.
- MIDARS(군사기지 무인 자동 순찰 시스템): 여러 대의 카메라, 레이더, 그리고 아마도 화기를 장착한 4륜 로봇으로, 군 기지 또는 기타 정부 시설 주변을 무작위 또는 사전 프로그래밍된 경로로 자동 순찰한다. 무단 접근 지역에서 움직임이나 기타 프로그래밍된 조건을 감지하면 인간 감독관에게 경고한다.
- 전술 자율 전투원(TAC) 부대: 프로젝트 알파 연구 보고서 ''무인 효과: 인간을 제거하기''에서 설명됨.[14]
- 자율 회전익 스나이퍼 시스템(Autonomous Rotorcraft Sniper System): 2005년부터 미국 육군이 개발 중인 실험적인 로봇 무기 시스템이다.[15][16] 2009년 여름에 비행 시험을 시작할 예정이다.[15]
- "모바일 자율 로봇 소프트웨어" 연구 프로그램: 2003년 12월, 미국 국방부가 더욱 발전된 군사 로봇을 개발하기 위해 세그웨이(Segway PT) 15대를 구입하면서 시작되었다.[19] 이 프로그램은 자율 시스템용 소프트웨어를 개발하기 위한 2600만달러 규모의 국방부 프로그램의 일부였다.[19]
다음은 미국의 군사용 로봇 및 관련 기술 개발 현황이다.
로봇/기술 이름 | 설명 |
---|---|
장갑 전투 공병 로봇(ACER) | - |
아틀라스(Atlas) | - |
전장 구출 지원 로봇(Battlefield Extraction-Assist Robot) | - |
드래곤 러너(Dragon Runner) | - |
마틸다(군사 로봇)(MATILDA) | - |
다기능 유틸리티/물류 및 장비(MULE) | 미국 무인 지상 차량(UGV) |
아이로봇 R-게이터(iRobot R-Gator) | - |
립소 MS1(Ripsaw MS1) | - |
소형 무인 지상 차량(Small Unmanned Ground Vehicle, SUGV) | - |
아이로봇 워리어(iRobot Warrior) | - |
PETMAN | - |
엑스칼리버 무인 항공기(Excalibur unmanned aerial vehicle) | - |
5. 2. 러시아

러시아는 차세대 경량 무인전차(UGV), 무인수상정(USV), 무인잠수정(UUV)을 개발하고 있다.[83] 지상 로봇으로는 최첨단 화력, 방호력, 기동력을 갖춘 무인 전차를 개발 중이며, 최신 장갑 기술이 적용되었다. 해상 로봇으로는 1980년대 후반에 ‘MT-88’ 체계를 개발하였고, 러시아과학원(RAS) 등에서 USV와 UUV를 개발하였다.
러시아는 로봇 중심의 군사력 증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국방 예산이 삭감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로봇 무기에 대한 투자는 강화하고 있다. 푸틴 대통령은 군 현대화와 ‘지능형 무기(intelligent weapons)’ 개발을 지시했다.[83] 드미트리 로고진 부총리 역시 미래 전쟁에서 로봇이 적극적으로 활용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2021년에는 정밀 감시 기능을 갖춘 감시 및 정찰 로봇 ‘플라이트(Flight)’와 다수의 유탄발사기를 탑재한 로봇 ‘알파 디바이스(Alpha Device)’ 등 군사 로봇을 공개했다.[83]

2018년에는 러시아군이 우란-9(Уран-9)라고 불리는 대형의 무인 중무장 로봇 차량을 시리아에 배치했지만, 오작동이나 장애물의 영향으로 신호가 두절되는 등 여러 문제가 발생했다.[67][68][69]
러시아는 적어도 2017년 시점에서 우주 공간에서 두 정의 권총으로 정확하게 사격하는 "FEDOR"라는 인간형 로봇을 개발했다.[72]
5. 3. 중국
중국은 군사용 드론 개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국유기업인 중국항천과공집단공사(CASC)가 개발한 군용 드론 '차이훙(레인보우)'은 CH-4 미사일을 발사하는 장면이 공개되어 주변국의 관심을 끌었다.[84] 특히 CH-4는 1000km 밖에서도 드론을 조종하여 미사일 발사가 가능하여, 해외에 직접 가지 않고도 공대지, 공대함 미사일을 발사할 수 있다.[84] 또한, 넓은 활주로 없이도 운용 가능한 무인 헬리콥터 'V-750'도 선보였다. V-750은 최소 두 개 이상의 50kg 대전차 미사일을 탑재할 수 있으며, 대대나 부대 차원에서 운영 가능하다.[84]
중국제 드론은 나이지리아 북동부에서 잔해가 발견되기도 하고, 이라크군이 CH-4로 IS를 폭격하는 영상이 공개되는 등 실전에서도 활용되고 있다.[84]
5. 4. 일본

일본은 무인 드론 개발 및 배치에 3.72억달러를 투입할 계획이며, 미국의 노스롭 그루먼 글로벌 호크 드론 3대를 도입할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향후 20년 내에 '전투용 드론 제트기'를 자체 개발할 계획도 갖고 있다.[85] 일본의 항공자위대(JASDF)가 공개한 미래 전략에 따르면, 2040~2050년 사이에 군용 드론이 인간 조종사와 함께 편대를 이루면서 자율적으로 목표물을 공격하는 작전을 구상하고 있다.
특히, 그동안 일본 방위성이 추진해온 국방 연구 프로젝트에 전혀 참여하지 않았던 58개 대학과 22개 공공기관이 지난해 대거 참가함에 따라, 앞으로 일본의 군사 로봇 기술 개발은 더욱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5. 5. 기타 국가
다음은 여러 국가에서 개발 및 운용 중인 군사용 로봇 목록이다.6. 군사용 로봇의 미래
전쟁에서 로봇을 사용하는 것은 전통적으로 공상과학의 주제였지만, 미래의 전투 수단으로서 연구되고 있다. 이미 여러 군대에서 다양한 군사 로봇을 개발했으며, 일부는 현대전의 미래가 자동화된 무기 시스템에 의해 전투가 벌어질 것이라고 믿는다.[5] 미국 군은 RQ-1 프레데터에 대규모 투자를 하고 있으며, DARPA는 2004년과 2005년에 무인 지상 차량 개발 경연 대회를 주최하여 200만 달러의 상금을 제공했다.[6]
포병은 "드래곤 파이어 II"라는 실험용 무기 시스템으로 유망한 연구를 보였지만, 군사 무기는 완전 자율 작동을 막고 특정 개입 지점에서 인간의 개입이 필요하다.
자율 전투기와 폭격기 개발도 진행 중이다.[7] 로봇 조종사는 훈련이 부족해도 되고, 자율 비행기는 인간 조종사가 할 수 없는 기동(높은 G-포스 등)을 수행할 수 있으며, 비행기 설계에 생명 유지 장치가 필요 없고, 비행기 손실이 조종사 손실을 의미하지 않아 유망하다. 그러나 로봇 공학의 가장 큰 단점은 표준이 아닌 조건에 적응할 수 없다는 점이며, 가까운 미래에 인공 지능의 발전이 이 문제를 해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2021년 3월 유엔 안전 보장 이사회 보고서에 따르면, 2020년 카르구 2 드론이 리비아에서 인간 표적을 추격하여 공격했으며, 이는 자율 살상 로봇이 인간을 공격한 최초의 사례일 수 있다.[8][9]
2015년 이후 인공지능 기술, 특히 심층 학습과 머신러닝 기술이 발전하면서 구현 가능한 기능이 급속도로 증가하여 실전 배치되는 분야가 점차 늘어나고 있다. 미사일(순항미사일) 등에도 단순한 임베디드 시스템뿐만 아니라 일부에 고도의 AI가 탑재되기 시작하여, 외형은 미사일이지만 실질적으로는 자율형 로봇인 경우도 있다.
군사용 로봇을 이용하면 자국 군인의 사망자 수를 줄일 수 있다. 군인은 위급한 상황에서 자국을 위해 싸우는 것이 임무이지만, 로봇이 대신 싸워주고 사상자 없이 자군이 승리할 수 있다면 더할 나위 없을 것이다. 또한, 매스미디어가 발달한 현대 전쟁에서는 병사가 전사하면 국내 여론이 전쟁을 싫어하는 상태로 기울어 전쟁 지속이 어려워지지만, 로봇 병기는 파괴되더라도 여론에 미치는 영향이 적어 전쟁을 계속할 수 있다는 논리가 있다.
전시 병사의 임무에는 정찰, 초계, 경비 등도 포함되므로, 이러한 일을 해줄 로봇 병기도 매우 유용하다. 또한, 지뢰 제거 등을 해주는 로봇도 평화적 이용의 한 예이다.
2000년대까지 로봇 병사는 공상과학에 불과하다고 여겨졌지만, 2010년대 후반부터 상황이 급변하여 실전 배치가 눈앞에 다가왔다. 2010년 이전에는 AI 구현이 어렵다고 생각되었지만, 심층 학습과 머신 러닝 기술이 급속히 발전하면서 자율 작동 로봇의 능력이 향상되었고, 2010년대 후반부터 AI 탑재 자율형 로봇이 실현 가능해졌다.
미국 보스턴 다이내믹스는 이미 AI를 탑재한 이족보행 로봇으로 적과 아군을 식별하여 사격하는 로봇을 개발했다. 이 로봇 병사는 Atlas()라는 인간형 로봇 기술도 활용하고 있으며, 공중제비를 할 정도로 운동 능력이 뛰어나다. 2020년대 안에 일부에서 실전 배치가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러시아는 2017년에 우주 공간에서 두 정의 권총으로 사격하는 인간형 로봇 "FEDOR"를 개발했다.[72] AI 무기를 먼저 개발하고 실전 배치하는 쪽이 전략적으로 유리하기 때문에, 미국도 로봇 병사의 완성도를 높이기 위해 힘쓰고 있다.
6. 1. 무인 항공기
현재 무인항공기는 무게 25kg, 고도 150m 이내에서 외부 조종사에 의해 시계 내에서 조종되며, 광학 카메라를 탑재하여 촬영, 정찰, 감시 등의 목적으로 주로 운용되고 있다.[86] 그러나 인공지능, 고성능 임무 장비 탑재, 3D 프린팅 기술, SW 기반 항공 전자의 발달로 미래에는 물자 수송, 정밀 농업, 승객 수송 분야에서도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
MQ-9 리퍼와 같은 무장 무인 공격기는 아프가니스탄 전쟁, 이라크 전쟁 등에서 실전에 배치되었다. 2002년 12월에는 스팅어 미사일로 무장한 MQ-1 프레데터가 이라크군의 MiG-25와 교전하여, 유인기와 무인기 간의 사상 최초의 공중전이 벌어지기도 했다.[29][30]
무장 무인기는 아프가니스탄과 파키스탄에서 탈레반, 알카에다 공격에 사용되었고, 파키스탄 탈레반 운동 사령관을 사살하는 데 성공하기도 했다. 그러나 민간인 희생자가 많이 발생하여 문제가 되고 있다.[31][32]
중국은 "익룡", "홍채" 등의 무장 무인기를 개발도상국에 수출하여 이라크군과 이집트군의 ISIL 공격, 나이지리아군의 보코하람 공격, 사우디아라비아군과 아랍에미리트군의 예멘 내전 개입 등에 사용되고 있다.[36][37][38][39][40][41]
이란은 Shahed 129영어 무장 무인기를 사용하여 시리아 내전에서 반정부 세력을 공격했고,[44] HESA Ababil영어과 같은 무장 무인기를 중동의 시아파 민병 조직에 확산시켜 문제가 되고 있다.[45][46] 예멘의 후티는 자체 개조한 아바빌(카세프 1)과 Samad (UAV)영어 등으로 사우디 석유 시설 공격을 일으키기도 했다.[47]
2014년 리비아 내전에서는 터키산 바이락타르 TB2와 중국산 익룡이 서로 파괴하는 무인기 전쟁이 벌어지고 있다.[48] 2020년 3월에는 리비아 내전에서 멀티콥터 드론이 자율 공격을 실시한 것이 보고되었다.[49]
테러 조직 ISIL은 DJI나 스카이워커 테크놀로지 등의 중국산 상용 무인기에 폭발물을 탑재하여 무장화했고,[50][51] 2017년 시리아·이라크 분쟁에서 정부군에 많은 사상자를 냈다.
국내 무인기 기술 수준과 ICT 기술 수준을 고려하면, 무인기 개발 시장은 새로운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미래 무인기 선도 기술을 개발하고, 제품의 국산 경쟁력을 강화하면 국내 무인기 산업은 새로운 분야에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을 것이다.[87]
6. 2. 드론

국내 드론 산업은 군수 위주로 시작되어 세계 7위권의 기술력을 확보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무인기 분야의 연구개발은 국방과학연구소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 정부출연연구소가 주도하는 가운데,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한항공이 주로 체계종합(System Integrator) 및 비행체 개발을 담당하고 LIG넥스원, 삼성탈레스, 삼성테크윈 등의 대기업을 포함한 중소업체들이 부체계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89] 드론 기술의 발전은 전쟁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으며, 글로벌 드론 전문기업들의 경우에도 시장 규모로만 본다면 현재까지는 군사용 드론 시장이 가장 크다. 또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군사용 드론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IB 타임즈에서 제시한 2014~2015년 전 세계 최대의 드론 기업은 보잉(Boeing), 제너럴 아토믹스(General Atomics), 록히드 마틴(Lockheed Martin), 노스롭 그루먼(Northrop Grumman) 등의 미국 군수 기업들이다. 보잉은 수소연료로 비행하는 팬텀 아이의 최근 테스트 비행에서 약 19812.00m 상공에서 급유 없이 4일을 비행할 수 있음을 보였고, 제너럴 아토믹스는 아프가니스탄에 배치되어 드론의 군사적 이용의 새 장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프레데터(Predator)의 전 세계 배치를 통해 매출이 급성장하고 있으며, 록히드 마틴은 보잉과 마찬가지로 급유 없이 4일을 비행할 수 있는 스토커(Stalker) 등을 주력 제품으로 내놓고 있다.[90]
7. 윤리적 문제
인공지능 무기 시대가 도래하면서 인간의 통제를 벗어난 킬러 로봇 등장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국제사회에서는 킬러 로봇 개발을 막기 위한 움직임이 활발하며, '스톱 킬러 로봇' 캠페인과 같은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91]
로봇 윤리는 인간과 로봇 간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윤리적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한 지침서 역할을 한다. 전투 로봇의 경우, 잘못된 판단이나 기술적 오류로 인해 무고한 사람들이 희생될 수 있으며, 테러리스트가 사용할 경우 인류에게 큰 재앙을 초래할 수 있다.[92] 로봇의 판단이 인간의 생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상황에서, 로봇 윤리는 로봇의 판단과 결정에 윤리적 요소를 포함시키고, 인간의 통제를 벗어나는 상황을 예방하는 수단으로 작용한다.[92]
휴먼라이츠워치(Human Rights Watch)와 킬러 로봇 반대 캠페인(Campaign to Stop Killer Robots) 등 인권 단체와 비정부기구(NGO)들은 각국 정부와 유엔(United Nations)에 "자율살상무기체계"(LAWS) 개발을 금지하는 정책을 도입할 것을 촉구하고 있다.[24] 2015년 7월에는 스티븐 호킹(Stephen Hawking), 일론 머스크(Elon Musk), 스티브 워즈니악(Steve Wozniak), 노엄 촘스키(Noam Chomsky) 등 1,000명 이상의 인공지능 전문가들이 자율 무기 금지를 촉구하는 서한에 서명했다.[26][27]
8. 미디어 속 군사용 로봇
영화 '아이언맨' 시리즈에 등장하는 인공지능 컴퓨터 '자비스'는 퍼셉추얼 컴퓨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퍼셉추얼 컴퓨팅은 컴퓨터가 사람의 손짓, 말, 생체 정보, 감정 등을 인식하고 그에 맞게 동작하도록 만드는 기술이다. 자비스는 주인공 토니 스타크의 개인 비서이자, 아이언맨 슈트 제작 전 과정(설계, 부품 제작, 조립, 테스트 구동 등)을 돕는 만능 로봇이다.[93]
자비스는 토니 스타크의 업무 외 시간 일상생활을 돕는 집사 역할도 하며, 로봇팔, 3D 홀로그램 기반 컴퓨터, 아이언맨 슈트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난다. 자비스는 인간의 감정을 완전히 이해하지는 못하지만, 토니 스타크의 외로움을 달래주는 친구처럼 묘사되기도 한다.[93]
로봇 무기의 최종 목표는 탐색부터 공격까지 스스로 판단하는 완전 자동화된 로봇 보병으로, 인명 손실을 방지하고 보급을 간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로봇 애니메이션 등 SF 분야에서는 전투용 로봇이 큰 인기를 얻고 있으며, 사람이 탑승하는 형태부터 완전 자동화된 형태까지 다양하게 묘사된다.
참조
[1]
논문
A new generation of military robots
2004
[2]
서적
Routledge Handbook of Defence Studies
Routledge
2018
[3]
논문
Robots and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Military.
2023
[4]
서적
Ghost Wars
Penguin
2005
[5]
웹사이트
Robots and Robotics at the Space and Naval Warfare Systems Center Pacific
http://www.spawar.na[...]
1999-02-20
[6]
웹사이트
Welcome to Grandchallenge
http://www.grandchal[...]
[7]
웹사이트
The Ascent of the Robotic Attack Jet
https://www.technolo[...]
[8]
웹사이트
Drones may have attacked humans fully autonomously for the first time
https://www.newscien[...]
2021-05-30
[9]
웹사이트
Killer drone 'hunted down a human target' without being told to
https://www.foxnews.[...]
2021-05-29
[10]
웹사이트
"Платформа-М": Роботизированный комплекс широких возможностей
http://www.arms-expo[...]
[11]
웹사이트
Guardium Military robot
http://www.defense-u[...]
2005-10-26
[12]
웹사이트
Korean gun bots
https://www.theregis[...]
2011-01-15
[13]
웹사이트
Gravitas: China deploys 'Robot Soldiers' along the border with India - Gravitas News
https://www.wionews.[...]
[14]
웹사이트
Robotics to play major role in future warfighting
http://www.jfcom.mil[...]
United States Joint Forces Command
2003-07-29
[15]
뉴스
Flying-rifle robocopter: Hovering sniper backup for US troops
https://www.theregis[...]
2009-04-21
[16]
웹사이트
U.S. Army Tests Flying Robot Sniper
http://www.foxnews.c[...]
Fox News
2009-04-22
[17]
웹사이트
UAV Helicopter Brings Finesse to Airstrikes
http://www.popularme[...]
2009-05
[18]
웹사이트
Army Tests Flying Robo-Sniper
http://blog.wired.co[...]
2009-04-21
[19]
웹사이트
Military wants to transform Segway scooters into robots
http://www.seattlepi[...]
seattlepi.com
2003-12-02
[20]
웹사이트
DoD News:Article published Aug. 17, 2011
http://www.defense.g[...]
U.S. Department of Defense
2011-08-17
[21]
뉴스
Robot soldiers
http://news.bbc.co.u[...]
2002-04-12
[22]
논문
On the moral responsibility of military robots
2013-06
[23]
웹사이트
Robots in War: Issues of Risk and Ethics
http://digitalcommon[...]
2009
[24]
웹사이트
UN urged to ban 'killer robots' before they can be developed
https://www.theguard[...]
2015-04-09
[25]
웹사이트
UK opposes international ban on developing 'killer robots'
https://www.theguard[...]
2015-04-13
[26]
웹사이트
Musk, Wozniak and Hawking urge ban on warfare AI and autonomous weapons
https://www.theguard[...]
2015-07-27
[27]
웹사이트
Musk, Hawking Warn of Artificial Intelligence Weapons
https://blogs.wsj.co[...]
2015-07-27
[28]
웹사이트
Soldiers <3 robots: Military bots get awards, nicknames ... funerals
http://www.nbcnews.c[...]
NBC News
2013-09-28
[29]
뉴스
Pilotless Warriors Soar To Success
CBS News
2003-04-25
[30]
서적
Military Robots and Drones: A Reference Handbook
ABC-CLIO
2013
[31]
웹사이트
無人機プレデター&リーパー【2】死者1000人、巻き添え多数
https://www.jiji.com[...]
[32]
뉴스
「米無人機攻撃、パキスタンでは市民400人超が犠牲に=国連調査」
https://jp.reuters.c[...]
2013-10-19
[33]
뉴스
【テロとの戦いと米国:第4部】オバマの無人機戦争/2 「情報」が招く誤爆
https://web.archive.[...]
2010-05-01
[34]
뉴스
「巻き添え減らせ、CIAが対テロ新型ミサイル」
https://web.archive.[...]
2010-04-27
[35]
뉴스
A Really Big Deal: China is a Drone Superpower
https://nationalinte[...]
ナショナル・インタレスト
2019-03-16
[36]
웹사이트
Egyptian Air Force Shows-Off Chinese-Made Wing Loong Attack Drones
http://www.defensewo[...]
Defence Web
2018-10-19
[37]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Wing Loong drone and the Egyptian battle against ISIS in Sinai
http://english.alara[...]
알=アラビーヤ
[38]
웹사이트
中国製無人機がイスラム国拠点を破壊=低価格高性能の新型機―イラク
https://www.recordch[...]
Record China
2015-12-21
[39]
웹사이트
Algeria, Egypt unveil Chinese UAVs
http://www.defencewe[...]
Defence Web
2018-11-02
[40]
웹사이트
UAE, Saudi Arabia Operating Chinese UAVs Over Yemen
http://militaryedge.[...]
Military Edge
2015-12-17
[41]
웹사이트
drone wars-how the uae's chinese-made drone is changing the war in yemen
http://foreignpolicy[...]
[42]
웹사이트
無人機輸出の規制緩和 武器売却拡大へ方針
https://mainichi.jp/[...]
2018-04-20
[43]
웹사이트
無人機市場で存在感増す中国、兵器拡散で紛争拡大の懸念も
https://www.cnn.co.j[...]
CNN
2016-04-24
[44]
논문
Drones Operating in Syria and Iraq
Center for the Study of the Drone at Bard College
2016-12
[45]
웹사이트
The killer-drone parts available online for less than $600
https://wired.me/tec[...]
WIRED
2019-10-07
[46]
웹사이트
拡散する“現代のカラシニコフ” 中東ドローン戦争
https://www3.nhk.or.[...]
NHK
2019-09
[47]
웹사이트
サウジ、攻撃使用の無人機残骸を公表 イラン関与「疑いない」
https://jp.reuters.c[...]
로이터
2019-09-19
[48]
웹사이트
Chinese drones hunt Turkish drones in Libya air war
https://www.scmp.com[...]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
2019-09
[49]
뉴스
Killer drone ‘hunted down a human target’ without being told to
https://www.foxnews.[...]
Fox News
[50]
웹사이트
Isis use of hobby drones as weapons tests Chinese makers
https://www.ft.com/c[...]
파이낸셜타임스
2017-12-10
[51]
웹사이트
ISIS Is Now Using Hobby Drones to Kill People
http://gizmodo.com/i[...]
기즈모도
2016-10-11
[52]
웹사이트
JIHADI KARMA ISIS fighter killed by drone bomb he was operating after it ran low on battery and flew back
https://www.thesun.c[...]
더 선
2019-08-25
[53]
웹사이트
IDF to continue using drones that US army deemed unsafe
http://www.jpost.com[...]
예루살렘 포스트
2017-08-06
[54]
웹사이트
WATCH: THE NEW DRONE EVERY IDF OFFICER WANTS IN THE BATTLEFIELD
http://www.jpost.com[...]
예루살렘 포스트
2017-06-04
[55]
웹사이트
US Army halts use of Chinese-made drones over cyber concerns
https://www.reuters.[...]
로이터
2017-08-04
[56]
웹사이트
US Military Still Buying Chinese-Made Drones Despite Spying Concerns
https://www.voanews.[...]
보이스 오브 아메리카
2019-09-17
[57]
웹사이트
The U.S. military shouldn't use commercial drones
http://www.slate.com[...]
Slate
2017-08-16
[58]
웹사이트
US Air Force Requisitions Chinese Origin DJI Drones
https://www.defensew[...]
DefenseWorld
2018-09-26
[59]
뉴스
Drones Don’t Wear Uniforms. They Should
https://foreignpolic[...]
포린 폴리시
2019-12-06
[60]
웹사이트
ガザ大規模衝突で15人死亡、1400人負傷 デモに住民数万人
https://www.afpbb.co[...]
AFP
2018-03-31
[61]
뉴스
「殺人AI兵器、世界初使用か 昨春、内戦下のリビア トルコ製無人機、国連報告書」
https://mainichi.jp/[...]
毎日新聞
2021-06-23
[62]
간행물
今後の軍事科学技術の進展と軍備管理等に係る一考察
https://www.nids.mod[...]
防衛研究所紀要
[63]
뉴스
殺人ロボット兵器、規制めぐる議論継続へ 国連、初の専門家会議終了
https://www.sankei.c[...]
산케이 뉴스
2017-11-18
[64]
뉴스
「AI兵器」国際ルール合意も法的拘束力なく懸念
NHK
2019-08-22
[65]
웹사이트
SecDef: China Is Exporting Killer Robots to the Mideast
https://www.defenseo[...]
2019-11-10
[66]
웹사이트
This Chinese weapons and hit play a leading role in Iraq on unmanned combat vehicles
http://www.bestchina[...]
Best China News
2016-08-25
[67]
웹사이트
殺人ロボット「SWORDS」活躍前にリコールされちゃた
https://www.gizmodo.[...]
기즈모도
2008-04-20
[68]
웹사이트
Say Hello to Alrobot, Iraq's Homeuilt War Robot
https://www.popularm[...]
Popularmechanics
2016-08-23
[69]
웹사이트
Russia's Uran-9 Robot Tank Went to War in Syria (It Didn't Go Very Well)
https://nationalinte[...]
내셔널 인터레스트
2019-01-06
[70]
웹사이트
지뢰 제거 프로젝트
http://www.mext.go.j[...]
[71]
웹사이트
川崎重工プレスリリース
http://www.khi.co.jp[...]
[72]
웹사이트
銃が撃てるロシア製人型ロボット「FEDOR」…人類の味方となるか?
https://www.discover[...]
ディスカバリー・チャンネル
2019-04-20
[73]
웹사이트
High-tech war games help save lives
https://edition.cnn.[...]
[74]
웹인용
'[송혜민의 월드why] 대테러 군사로봇 기술, 어디까지 왔니?'
https://nownews.seou[...]
[75]
저널
BigDog
https://en.wikipedia[...]
2022-11-13
[76]
뉴스
군, 무인전투시대 준비 나선다…관련장비 운용개념 연구
http://www.ekn.kr/ne[...]
에너지경제
2016-02-10
[77]
저널
'과거의 현재'와 '현재의 과거'의 매혹적 만남 - 한국 개념사 연구의 현재와 미래 -
http://dx.doi.org/10[...]
2011-06
[78]
웹인용
45조 軍 로봇 시장 잡아라… K방산, 군용 로봇 개발에 매진
https://biz.chosun.c[...]
2022-12-28
[79]
웹인용
45조 軍 로봇 시장 잡아라… K방산, 군용 로봇 개발에 매진
https://biz.chosun.c[...]
2022-12-28
[80]
웹인용
supp2-3214836.pdf
http://dx.doi.org/10[...]
2022-12-28
[81]
웹인용
로봇 시스템의 군사적 적용 방안-국민대학교 IT 비즈니스학과, 조정익
http://www.koreascie[...]
[82]
웹인용
국내외 과학기술동향, 정책, 문화 등 과기계 이슈 정보 제공. 매주 금요일 뉴스레터 발송
https://www.sciencet[...]
2022-12-08
[83]
웹인용
러시아, 탱크 잡는 드론 개발 - 로봇신문사
http://www.irobotnew[...]
2022-12-28
[84]
웹인용
파일:중국의 무인 헬리콥터.jpg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https://commons.wiki[...]
2022-12-28
[85]
웹인용
국내외 과학기술동향, 정책, 문화 등 과기계 이슈 정보 제공. 매주 금요일 뉴스레터 발송
https://www.sciencet[...]
2022-12-28
[86]
웹인용
국방과학연구소
https://www.add.re.k[...]
2022-12-28
[87]
웹인용
원문보기 - ScienceON
https://scienceon.ki[...]
2022-12-28
[88]
웹인용
[유용원의 밀리터리 시크릿] 한국군도 ‘킬러 드론’ 시대 열렸다
https://www.chosun.c[...]
2022-12-28
[89]
웹인용
원문보기 - ScienceON
https://scienceon.ki[...]
2022-12-28
[90]
웹인용
원문보기 - ScienceON
https://scienceon.ki[...]
2022-12-28
[91]
웹인용
‘인간 통제 밖’ 킬러 로봇을 멈춰라
https://www.khan.co.[...]
2022-12-28
[92]
웹인용
원문보기 - ScienceON
https://scienceon.ki[...]
2022-12-28
[93]
웹인용
아이언맨이 쓰는 컴퓨터 '자비스'의 정체는?
https://zdnet.co.kr/[...]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